본문 바로가기

세계음식문화

맛을 결정하는 향신료 음식의 주재료가 동일하더라도, 음식을 만들 때 사용하는 부재료 또는 양념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맛의 음식이 결정된다. 특히 독특한 향신료(spice)나 허브(herb)를 사용한 음식이 한 국가의 전통적인 음식인 경우가 많다. 1) 향신료의 기능 더운 지역에서 살아가던 사람들은 먹거리에 향신료를 사용하면 음식재료의 나쁜 맛이나 냄새를 제거하고, 식욕을 돋우며, 음식의 부패를 방지하고, 다양한 음식의 맛을 즐길 수 있으며, 음식의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럽에서도 중세시대부터는 육식 위주로 많은 음식을 먹던 식생활에서 탈피해 형식과 절제를 중요시하는 식생활을 추구하였고, 13세기경에 이탈리아에서 향신료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14세기경에는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도 육류를 저장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더보기
세계 각국의 대표 음식과 문화 형성 요인 1. 세계 각국의 대표적인 식품과 음식 일상생활 속에서 섭취하는 식품과 음식은 오랜 역사의 산물이므로, 각 나라의 기호식품이나 대표적 음식을 살펴보면 문화의 차이를 이해하기가 쉽다. 각 나라의 기호식품은 평균 100~200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착한다. 오랜 역사적 배경을 통해 형성된 각 나라의 기호식품은 나라마다 다르기 때문에, 한 국가의 국민들이 즐겨 먹는 기호식품이 바로 그 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음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각 국가의 모든 문화와 마찬가지로 한 국가를 상징하는 음식문화도 국가 간의 활발한 문학적 교류에 따라 서서히 변화한다. 즉, 국가마다 국민들이 날마다 섭취하는 음식물로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국가의 대표적인 음식들도 변화할 수 있다. 외국 농산물 수입과 외국 음식점의.. 더보기
세계의 다양한 식생활 문화 1. 음식과 문화 세계화는 여러 국가와 민족이 지구촌에서 더불어 살아감을 의미한다. 세계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의 언어와 생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음식 섭취는 생존을 위해 가장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다른 나라의 음식문화를 알고 인정한다면 개인이나 국가 간에 친밀한 관계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간은 수렵이나 채집, 목축, 농업, 어업 등의 수단으로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먹거리를 확보해 왔다. 이렇게 얻은 먹거리를 조리, 가공하여 다양한 음식을 만들고, 완성된 음식을 편안하고 위생적으로 먹기 위해 도구, 그릇, 상, 식탁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여러 사람이 즐거운 마음으로 음식을 먹기 위해서 식사 예절을 만들어 식사 행동의 체계를 지키고자 하였다. 식품을 조리, 가공하는 .. 더보기